CS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버 성능 향상 방법 서버 성능의 지표 응답 시간 TPS (처리량) 응답 시간 = 서버에서 처리 시간 + 클라이언트-서버 간의 데이터 전달 시간 TPS (= Transaction per Second: 초당 처리할 수 있는 요청 개수) a. 스케일 아웃 이중화 b. 스케일 업 CPU, 메모리 사양을 더 높임. c. 처리 시간을 줄이면 TPS가 늘어날 수 있음. 처리 시간 1초, 스레드 풀 10개 기준으로 TPS가 10이 나온다고 할 때 처리시간이 0.5초가 되면 TPS가 20이 된다. d. 따라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면 TPS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응답시간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. 처리 시간 줄이는 방법 처리 시간에서 비중이 높은 대상을 찾아서 줄여야 한다. 비중이 높은 대상으로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가 있다. DB 연동 a. 쿼.. 스레드 수와 서버 성능의 관계 CPU 코어가 많을수록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 또한 가용 스레드가 많을수록 한 프로세스에서 분산 작업 처리를 많이/더 성능이 좋게 할 수 있다. 요즘 노트북 CPU 1개에는 1개에서 8개 정도의 코어를 갖는다. 반면 GPU는 보통 수 백개에서 수 천개의 코어를 갖는다. 따라서 GPU를 사용하면 동시 작업을 더 많이 할 수 있다. GPU(그래픽 카드)가 코어를 많이 가지는 이유는, 화면에 표출되는 수많은 픽셀들의 값을 각각 동시에 계산에서 출력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. 그렇다면 가용 스레드가 많을수록 무조건 성능이 좋을까?? 그렇지 않다. 실행하는 시스템이 CPU bound인지 I/O bound인지 먼저 따져야 한다. CPU bound 시스템 : 연속적인/논리적인 작업이 주된 시스템 I/O b.. 이전 1 다음